포스타 바이 골든 블랑 4스타

생일날이었습니다. 회사 선배와 룸으로 된 주점에서 술 약속이 있었고, 부장님 뒷담화랑 이런저런 사는 얘기를 하던 중 선배는 갑자기 샴페인 한 병을 꺼냈습니다.

" 포스타 바이 골든 블랑 " 처음 들어보는 이름이었죠.솔직히 샴페인은 잘 모릅니다. ㅎㅎ



샴페인 따다가 대참사..

저는 알망 같이 고급 샴페인을 마셔봐도 다른 저가 샴페인과 크게 다른 점도 없었고 위스키처럼 묵직하게 박히는 것도 아니고, 와인처럼 생산자 품종 따라 테이스팅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도 아니라 생각합니다.

제 기준에 샴페인은 늘 적당히 톡 쏘고 끝나는 술 그 이상 그이하도 아니였죠.


그래서 그날도 그냥 넘기려 했죠. 

그런데 한 모금 마시고 나서 한참 동안 머리 속에서 잊혀지질 않았습니다. 단순 맛 때문이 아니라, 이걸 굳이 왜 샀을까 하는 생각이 먼저 들더군요.


4star-by-Golden-Blanc-Brut


목차

포스타 바이 골든 블랑 시음 후기 및 테이스팅 노트

포스타 바이 골든블랑 상세 이미지

향은 청사과향이나 배향이 날 줄 알았는데.. 그냥 저가 와인에서 나는 청포도 알콜 향이 낫어요.


첫 모금에 느껴진 건 단맛도 산미도 아닌 청포도 껍질맛이었습니다.

익기 전 포도껍질을 씹을 때 나는 씁쓸함, 입안에 미끄러지며 남는 떫은 질감이 먼저 올라왔습니다. 샴페인 특유의 상큼함을 기대했다면 당황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청포도 껍질의 첫향을 이어선 배 향이 슬쩍 퍼졌습니다.과즙이 터지는 풍성한 느낌은 아니고, 배를 깎을 때 옆에 있으면 스치는 그 향에 가깝습니다. 한입 먹고 고개를 돌리는 사이에 잊혀지는 정도의 존재감.


탄산은 쌘편은 아니에요.기포는 작고 입안을 감싸는편 전체적인 과실향을 빠르게 정리합니다. 다만 정리 후에 남는 건 공허함에 가깝습니다. 향을 남기기 보단, 과실 향을 지우는 느낌이죠.


알코올 도수는 낮지만, 끝에 살짝 목 안이 데워지는 따뜻함이 있습니다. 부드럽게 넘어간다기보다, 마신 뒤에야 느껴지는 애매한 온기가 있어요. 기분 좋은 피니쉬는 아니고 술 마신 티가 나긴 나는 정도의 체감입니다.

포스타 바이 골든 블랑 스파클링 와인 테이스팅 노트

포스타 바이 골든 블랑 잔에 따른 모습


  • 샴페인 색깔(외관)
    연노란빛이 감도는 밝고 투명한 색상, 잔 안에서 올라오는 탄산 기포는 생생하고 지속적임


  • 샴페인 향
    코로 맡는 향은 뚜렷하지 않음, 전통적인 과일향보다는 미묘한 자연스러운 향 위주


  • 첫맛(Initial Taste)
    입에 닿자마자 느껴지는 쌉싸름한 포도껍질 맛이 강렬하게 다가옴. 익숙한 달콤한 과일향보다 껍질 특유의 텁텁함이 먼저 인상적


  • 중간 맛(Mid-Palate)
    부드러운 배 향이 서서히 퍼지면서 달콤함과 신선함을 동시에 전달. 그러나 과일 맛들이 탄산에 묻히는 느낌 존재


  • 탄산감
    자연스럽게 툭치는 탄산이 전체 풍미를 감싸며, 다소 강한 청량감이 맛의 균형을 잡음


  • 피니시(Finish)
    낮은 도수에도 불구하고 목넘김 시 은은한 따뜻함이 느껴짐. 마무리는 부드럽지만, 약간 의외의 온기감으로 여운을 남김


  • 총평
    무난하게 즐길만한 스파클링 샴페인 병 외관이 이쁜편이라 연말파티, 기념일, 피크닉 때 먹기 좋은 샴페인 정도

샴페인명 단도 산도 탄산감 청량함 피니쉬 여운
포스타 바이 골든블랑 브뤼

포스타 바이 골든 블랑 브뤼 추천 안주 + 연말파티 샴페인으로 제격


이 샴페인을 먹을 기회가 있다면 적어도 입이 외롭지 않게 해줄 뭔가는 필요합니다. 


샴페인을 좋아하는 여성

솔직히 안주가 메인이 되고 샴페인이 사이드가 되는 구도가 오히려 낫습니다.안주보다도 그냥 자기 역할을 최소화해줄 무언가가 필요합니다. 

그럴 땐 차라리 레몬 슬라이스 하나 넣고 마시세요. 어설픈 단맛보다 산미를 주입해서 날려버리는 편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얇게 썬 카망베르 치즈 혹은 크림치즈 크래커


치즈 크래커를 먹는 남성

해당 샴페인이 못 해내는 부드럽고 진득한 질감을 치즈가 메워줍니다.

특히 크림치즈 계열은 배 향과도 어느 정도 조화를 이루고,입안에 남는 떫은 껍질 느낌도 자연스럽게 눌러줍니다.

이 정도 안주면 오히려 친구들 또는 연인 처럼 편하고 가까운 사이에서 즐기는 연말파티에선 되려 좋은 샴페인으로 추억 될만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어디든 볼 수 있는 국내 최고의 사이드 메뉴인 감튀와 궁합이 좋았습니다.

바삭한 감자튀김 or 튀김류 기름진 안주가 이 샴페인의 탄산감을 잠시나마 “쓸모 있게” 만들어 주며 특히 감자튀김처럼 짠맛과 기름맛이 확실한 건, 이 술이 가진 미지근한 따뜻함과 묘하게 충돌하면서 리셋하는 느낌을 줍니다.

💡 TMI - 파티에서 술이 메인이 아니어도 되는 이유!

→ 사람들이 요즘은 무작정 마시는 분위기보다 함께 맛있는 걸 나누는 자리를 더 선호하기 때문이에요.

술은 분위기를 살짝 올려주는 조연 정도로만 등장하고,살짝 입맛을 돋우는 역할이라 ‘음식 위주의 모임’에 제격이죠.




🎉 TMI - 샴페인이 축하 자리에 빠지지 않는 이유!

샴페인이 왜 늘 축하할 때 등장하냐고요? 그 이유는 단순히 탄산이 있어서 터지는 게 ‘화려해 보여서’만은 아닙니다.사실 샴페인은 예전부터 유럽 왕실과 귀족들이 축하 행사 때 마시던 상징적인 술이었어요.

포스타 바이 골든블랑 가격 및 가성비 평가

포스타 바이 골든블랑


샴페인을 고르다 보면 가격이 정말 천차만별이라 뭐가 괜찮은 건지 헷갈리기 쉽죠.

포스타 바이 골든블랑 브뤼가 평균 6만 원 중후반이라면 이건 샴페인 중에서 딱 입문자나 가볍게 분위기 내고 싶은 자리에서 고르기 괜찮은 급이라고 보면 됩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모엣 샹동이 7~9만 원대고, 그보다 더 고급인 뵈브 클리코나 뿌삐에 같은 브랜드는 10만 원을 훌쩍 넘는 걸 생각하면, 포스타는 이름값 있는 브랜드는 아니지만 가격대비 괜찮은 외형과 맛을 보여주는, 말 그대로 ‘가성비 좋은 입문용 샴페인’이라고 할 수 있어요. 


물론 전통 샴페인 특유의 깊은 향과 복합미는 조금 아쉬울 수 있지만, 적당한 산미와 청량감, 여운까지 갖추고 있어서 파티 자리에서 무겁지 않게 마시기엔 꽤 이상적입니다. 


결국 이 가격대에서는 확실히 퀄리티에 비해 이름값으로 더 받는 샴페인들도 많은데, 포스타는 그런 느낌 없이 깔끔하게 자기 역할을 해주는 느낌이라, 화려하진 않지만 괜찮은 정도의 샴페인이라 생각이 되네요 ㅎㅎ